투명성(2)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4] 엄격성과 자유의 배출구
24. 엄격성과 자유의 배출구 학교이야기를 좀 해야 겠다. 내가 교육분야 공부를 했기 때문에 학교에 관심이 많았다. 영국에서 내가 살던 동네의 학교를 가보고 가만히 관찰한 바에 의하면 아동과 교사의 거리가 우리보다 가깝다는 점이다. 아동과 교사의 거리가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가깝다는 점이다. 우선 학급당 아동수가 작으므로 교실공간이 작고 선생님과 코를 맞댈 정도의 거리에서 수업을 하는데, 한국의 대도시의 초등학교를 보면 교실이 영국의 학교보다 훨씬 크고 학생이 많으므로 복도와 계단이 매우 넓고 그러므로 시설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와 벽돌과 매끄러운 돌을 이용하여 학교를 지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교실은 동선(動線)이 매우 크고 움직이는데 힘이 더 든다. 어린아이에게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 영국의..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3] 영국문화의 특징
23. 영국문화의 특징 문화란 한 국가나 지역 혹은 민족의 삶의 패턴을 의미한다. 오늘날 서구사회를 주도한 앵글로 색슨족의 문화는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이것은 동양의 문화와 비교하여 봄으로써 명확해 지는 것 같다. 첫째는 살아가는 방식에 있어서 사회구조의 투명성(Transparency) 이다. 이것은 하나의 조직이 아주 명백하게 규정된 규율에 의하지 않더라도 삶의 패턴이 예측 적 이라는 점이다. 그 하나의 예로 도시구조라든가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과 사상을 판단하는 방식이 논리에 의하여 명확하다는 점이다. 동양의 사회는 역동적 인의예지의 논리에 의하여 비합리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나 서구사회는 논리에 의존하므로 대체로 논리에 따르며 이에 적합한 사회구조를 갖고 있다. 사람들은 이것을 대체로 ..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