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주의(2)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8] 경험주의
28. 경험주의 학자들은 대륙계의 합리론과 영국의 경험주의를 중세이후 큰 철학계의 논의로 주장하면서 데까르트로 대표되는 대륙계의 합리론은 수의 엄밀성과 귀납적 사고를 연구에 도입한 방법론적 특징을 지적한다. 한편 영국은 경험론이라는 사유 방식을 중심으로 연역적, 질적인 관찰방법을 주안으로 하여 발달된 주류를 대비하는데, 무엇이 영국인의 경험론적 합리성인가? 사유하는 국민이라 이름 붙은 영국인들, 이를 학문적으로 풀이하면 연역적 사고 즉 개개의 것을 잘 고려하여 거기서 일반원칙을 찾아내는 방식, 즉 대륙 계 귀납학자들이 주장한 실증주의보다는 경험론에 바탕 한 해석학적인 접근 방법이다. 이는 학문적으로 좀 어려운 용어인데, 예를 들어 법을 적용 시, 법을 해석 적용하는 사람은 법을 무조건적으로 일방적으로..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6] 문화상품
26. 문화상품 영국의 주요 수출품은 문화상품이다. 문화상품으로 먹고 산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국에 정착하면서 처음에 시골을 지나다녀도 밀을 경작하는 곳이 그리 많지 않고, 들판에도 좀 체로 야채나 곡식을 심지 않는 것 같다. 다만 농사라야 고작 양 몇 마리, 소 말을 키우는 것에 불과한데 이 나라 사람은 무엇으로 먹고살까 하는 의구심이 일어났다. 쇼핑을 하면 각종야채는 남아공에서부터 스페인 네덜란드 등 다른 나라에서 나온 제품을 수입하여 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요 공산품도 영국의 고유브랜디는 몇 개 되지 않고 다른 나라의 브랜디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은 삼성, 엘지, 소니, 도시바 필립스, 등등, 자동차는 볼보, 폭스바겐, BMW, 씨트론 현대 대우, 기아 등등 공산품도 외국에서 ..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