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99)
-
뻥의 철학
여기 무언가가 부족하고 미완성된 느낌을 전달하는 추상화가 있습니다. 부드러운 색조와 중단된 붓질이 결합되어 결핍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도록 표현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출판하기 위하여 10년전에 쓴 글인데 뭔가 부족하여 출판을 미루고 보관만하던 글입니다. 관심있는 독자께서는 자유로이 별첨에 첨부된 책을 무료로 다운받 아 읽으실 수 있습니다.
2024.10.04 -
내 영혼의 된장국(6-6)
내 영혼의 된장국(6-6)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6장. 비우기 1. 비워라 어느 요가 훈련장에서 호흡법을 배우고 있었다. 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숨을 들이쉴 때는 셋을 세고 내쉴 때는 일곱을 세어 보세요”손을 들고 한 훈련생이 질문을 했다.“숨을 들이쉴 때나 내쉴 때 같은 수를 세면서 호흡해야 하지 않나요”?강사는 반문을 했다.“왜 그래야 하지요”?“들이쉰 만큼의 공기가 내 쉬어져야 하니까요.“일반적으로 우리는 그렇게 알고 있지요. 하지만 그런 오해를 깨려고 지금 학생은 훈련을 받으러 오신 거예요” “숨을 들이쉴 때는 셋을 세고 내쉴 때는 일곱을 세게 되면 들숨과 날숨이 균형이 맞지 않죠. 그러나 실제로 호흡은 폐만 하는 게 아니라 우리 피부로도 호흡을 하죠. 조금 들이마..
2024.10.03 -
내 영혼의 된장국(6-5)
내 영혼의 된장국(6-5)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5장. 통찰 1. 통찰(INSIGHT) 할 일에 최선을 다 하고 푹 쉬면, 어느 날 갑자기 침대머리에서 갑자기 답이 떠오른다. 누구나 이런 경험을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또는 꿈속에서, 아니면 귀가 길에 멍청히 전철 안에 앉아 있다가, 아니면 해변에서 느긋하게 휴가를 즐기다가 무의식이 주는 해답을 마주칠 것이다. 프로이트는 심적 현상을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누고, 무의식은 다시 전의식(前意識)과 본래의 무의식으로 나누었다. 무의식은 정신분석(精神分析)에 의해서 비로소 의식화할 수 있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무의식의 심적 내용은 억압된 관념 및 본능(특히 성적 본능)으로 이루어진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
2024.10.03 -
내 영혼의 된장국(6-4)
내 영혼의 된장국(4) 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4장. 암시(힌트) 1. 창조와의 만남 잭 하다마드(Jacques Hadamard)는 수학자, 이론물리학자인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 포앙카레(Henri Poincaré )등 많은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기술하였는데, 그들은 우연히 고심하던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말한다.(미주1) 데니스 브리앙(Denis Brian)(미주2), 카니겔 로버트(Kanigel, Robert)(미주3), 가브로블루 등(Gavroglu)(미주4), 반데르 와던(B. L. van der Waerden)(미주5)과 헤롤드 뤠그(Harold Ruegg)(미주6) 등 많은 학..
2024.10.03 -
내 영혼의 된장국(6-3)
내 영혼의 된장국(3) 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3장 숙성(배양, 인큐베이팅) 1. 탄생과 인큐베이팅(Incubating) 제2장을 마스터 하였으면 당신은 방금 창조성을 가진 인류의 신 부류로 탄생하였다. 창조라고 명패가 붙은 자궁을 통하여 방금 탯줄을 잘랐다. 손에는 나침반과 지도를 들고 탄생하였다. 그런데 창조적 도약(creative leap)을 위해서는 아직 다리 힘이 많이 모자란다. 때문에 인큐베이터에서 자신을 점점 더 높은 수준의 환경에 노출되어도 살아가는데 지장이 없도록 당신은 당분간 보육되어야 한다. 자궁속의 환경과 당신이 지금 달성해야 할 목표가 있는 이곳은 완전히 다르다. 때문에 이 상황에 적응을 해야 한다. [인큐베이터]여러 조사를 통하여 공주가 있는 위치와 어떤 준..
2024.10.03 -
내 영혼의 된장국(6-2)
내 영혼의 된장국(2) 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2장 방향과 준비 1. 담을 그릇 얼굴의 긴장을 풀고 웃어보라 거울을 보고 당신의 영혼이 몸담고 있는 얼굴을 보아라.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당신은 이 프로젝트에 참가할 자격이 있는지 확인을 받아야 한다. 당신의 얼굴을 보고 한번 웃어보아라. 무표정하거나 찡그린 얼굴을 가진 사람은 당장 웃어보고 마음에 드는 표정으로 교정을 하여라. 다양하게 웃어보고 당신이 가장 마음에 들고 늘 품고 다녀야 할 미소를 만들어라. 웃기가 힘들다고? 그러면 입술을 움직여 억지로 스마일로 만들도록 입술 양끝을 올려라. 무표정하거나, 찡그린 얼굴은 삶이 힘들다는 것과 실패를 할 것임을 암시하고 다툼과 짜증의 징조를 준다. 호감을 주지 못하고 회피하게 만들..
2024.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