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0)
-
내 영혼의 된장국(6-4)
내 영혼의 된장국(4) 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4장. 암시(힌트) 1. 창조와의 만남 잭 하다마드(Jacques Hadamard)는 수학자, 이론물리학자인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 포앙카레(Henri Poincaré )등 많은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기술하였는데, 그들은 우연히 고심하던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말한다.(미주1) 데니스 브리앙(Denis Brian)(미주2), 카니겔 로버트(Kanigel, Robert)(미주3), 가브로블루 등(Gavroglu)(미주4), 반데르 와던(B. L. van der Waerden)(미주5)과 헤롤드 뤠그(Harold Ruegg)(미주6) 등 많은 학..
2024.10.03 -
내 영혼의 된장국(6-3)
내 영혼의 된장국(3) 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3장 숙성(배양, 인큐베이팅) 1. 탄생과 인큐베이팅(Incubating) 제2장을 마스터 하였으면 당신은 방금 창조성을 가진 인류의 신 부류로 탄생하였다. 창조라고 명패가 붙은 자궁을 통하여 방금 탯줄을 잘랐다. 손에는 나침반과 지도를 들고 탄생하였다. 그런데 창조적 도약(creative leap)을 위해서는 아직 다리 힘이 많이 모자란다. 때문에 인큐베이터에서 자신을 점점 더 높은 수준의 환경에 노출되어도 살아가는데 지장이 없도록 당신은 당분간 보육되어야 한다. 자궁속의 환경과 당신이 지금 달성해야 할 목표가 있는 이곳은 완전히 다르다. 때문에 이 상황에 적응을 해야 한다. [인큐베이터]여러 조사를 통하여 공주가 있는 위치와 어떤 준..
2024.10.03 -
내 영혼의 된장국(6-2)
내 영혼의 된장국(2) 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2장 방향과 준비 1. 담을 그릇 얼굴의 긴장을 풀고 웃어보라 거울을 보고 당신의 영혼이 몸담고 있는 얼굴을 보아라.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당신은 이 프로젝트에 참가할 자격이 있는지 확인을 받아야 한다. 당신의 얼굴을 보고 한번 웃어보아라. 무표정하거나 찡그린 얼굴을 가진 사람은 당장 웃어보고 마음에 드는 표정으로 교정을 하여라. 다양하게 웃어보고 당신이 가장 마음에 들고 늘 품고 다녀야 할 미소를 만들어라. 웃기가 힘들다고? 그러면 입술을 움직여 억지로 스마일로 만들도록 입술 양끝을 올려라. 무표정하거나, 찡그린 얼굴은 삶이 힘들다는 것과 실패를 할 것임을 암시하고 다툼과 짜증의 징조를 준다. 호감을 주지 못하고 회피하게 만들..
2024.10.03 -
내영혼의 된장국(6-1)
내 영혼의 된장국(1) 부제: 창의성에 대하여 제1장 이론적 배경 1. 들어가는 말 이 책은 창조적 성공에 대한 방법을 설명한 글이다. 학생들은 1등을 하는 친구를 동경하거나, 성공한 CEO를 전설적으로 생각하며 동경하지만 그들을 따라잡으려고 하면 막연하고 많은 장애에 부딪히고 좌절을 맛보기도 한다. 그것은 창의적 발견의 능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거기엔 구체적 준비와 목표가 수립되어야 하며 효과적인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 오늘날 기업은 물론 경영조직이나 공익법인을 막론하고 성패를 좌우 하는 것은 무엇일까? 사람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들을 성공의 요인으로 보기도 한다. 첫인상이 사업의 성패를 좌우한다.환경이 사업의 성패를 좌우한다.상호 회사명이 사업의 ..
2024.10.03 -
돌, 교육 및 아이 돌 사전
돌(Stone), 교육 및 아이돌 사전 1. 돌지금이 2010년대니 한 40년 전으로 필름을 돌려보자. 그때는 초등학교를 국민학교로 불렀다.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1990년말 김영상대통령 시절인 것 같은 디, 국민학교가 일제의 잔재라는 이유로 전면 개명을 했다. 그때 아마 경복궁 앞의 구 중앙청건물 즉, 일제의 총독부 건물 전신으로 쓰인 건물도 아주 해체하거나 뽀개서 들어내고, 아니 땅속 기초공사까지 파헤쳐 없애버렸다. 지금은 초등학교 다니는 형아들을 초딩으로 부른다. 당연히 중학교 다니는 형아는 중딩, 이어서 고딩, 대딩과 같은 신조어가 생겨났다. 아울러 담임선생님도 담탱이로 변모했다. 혹자는 야 어쩌면 담임선생님을 담탱이 라고 부르나 하고 놀라겠지만, 40년 전에도 아이들은 교사..
2024.09.27 -
교육의 문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