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0)
-
빠니보틀, 곽튜브, 기안84의 인기몰이
요즘 곽 튜브, 빠니보틀, 기안84같은 여행 유튜버의 방송이 인기다. TV를 켜면 골치 아픈 뉴스나 판에 박은 듯한 줄거리를 가진 드라마를 보는 것보다 여행 유튜버들의 여행이야기에 먼저 채널이 돌려진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흥미를 끄는 이유는 먼저 그들이 가진 미스터리한 이름이다. 빠니보틀은 본명은 박재한으로 2024년기준 36살이다. 복학왕 작가인 '기안84' 이름의 의미는 그가 "만화 를 시작했을 때 살던 동네가 화성시 기안리 였으며 논 가운데 아파트 달랑 한 채 있는 그 곳 이름에 84년생이라는 뜻의 숫자를 붙인 거라고 한다.l 참고로 2023. 8. 1일자 한국의 여행 유튜버 순위10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빠니보틀, 2. 곽튜브, 3. 희철리즘, 4. 초마드, 5, 원지의 하루, 6. 채코제..
2024.09.24 -
돌(EOLITHIC)
돌(EOLITHIC) 우리 주변에 흔하게 널린 것이 돌이다. 도시는 아스팔트가 덮고 건물은 시멘트와 철근으로 건설하니 요즘은 돌을 보기가 어렵다. 그래도 교외로 나가 산이나 들에 가면 많이 널린 돌을 볼 수 있다. 그중에서 구석기시대의 고인돌은 한반도에 약 3만개가 공식적으로 발견되었고 이것은 전 세계 고인돌 통계의 40%에 달한다는 보고가 있다1). 고인돌이 많이 분포한 지역은 강화와 고창이다. 그런데 내가 고등학교를 다닐 당시 살던 인천의 문학산 에 오르면 산이 고인돌 천지다. 그리고 잔국의 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밭 가운데 고인돌이 있는 모습도 흔하다. 고인돌은 선사시대의 유물이다. 고인돌은 부족의 지도자나 정치와 종교적 리더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그들을 장사지내고 표를 남긴 곳이다..
2024.09.13 -
메타인지
메타인지 1) 메타인지 메타(메타(영어: meta-, 그리스어: μετά→ 뒤, 넘어서, 와 함께, 접하여, 스스로)는 영어의 접두사로, 다른 개념으로부터의 추상화를 가리키며 후자를 완성하거나 추가하는 데에 쓰인다. 인식론에서 접두사 meta는 "~에 대해서"라는 뜻으로 쓰인다. 이를테면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이다. 메타메모리는 심리학에서 무언가를 회고할 때 이를 기억하거나 기억하지 아니하는 데 대한 개인의 지식을 뜻한다(wiki.com, 2020.1.22. 검색)인지능력이란 ‘공부에 대한 공부’ 또는 생각에 대한 생각으로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을 알고 있는 능력을 말한다. 즉 자신을 객관화하여 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김동일 외(2016, 김동일 외(2016). 메타인지전략의 효과에 관한 ..
2024.09.13 -
한국인과 예절
예(禮,manners, courtesy) 예의 의미 예(禮)라는 한자를 풀어보면 보일 시(示), 굽을 곡(曲), 콩 두(豆, 제기 祭器: 제사에 쓰는 그릇, 제수祭需: 제사에 드는 여러 가지 재료)로 분해되며, 이 의미는 제사상에 머리를 숙이는 것을 보여준다. 즉 영어로 manners, courtesy, (formal) the proprieties(처세술, 예절)의 의미를 가진다. 에가 언급된 유교의 5상(인.의.예.지.신.)에서 예를 살펴보면 어질 인(仁)은 통치자의 최고 덕목이며 너그럽다. 마음이 너그럽고 착하며 슬기롭고 덕목이 높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런데 이러한 제왕의 지덕인 인의 근본은 극기복례라고 공자는 말했으며 인의 근본은 즉 자신의 욕망을 누르고 자기를 극복해서 예로 돌아가는 ..
2024.09.12 -
한국인과 눈치
한국어의 눈치(Nunchi)란 영어로 번역하면 wits, sense(센스), perspective taking, taking a hint를 의미한다. 영어로 대체되는 sense, wit에서 보듯이 대인 관계, 사회생활에서의 감각, 판단력, 이해력, 재치 등을 가리키는데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첫째, 일의 정황이나 남의 마음 따위를 상황으로부터 미루어 알아내는 힘이다. 흔히 이런 경우 눈치가 있다 또는 눈치가 없다 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둘째, 생각하는 바가 드러나는 어떤 태도를 말한다. 이 경우 눈치를 주거나 눈치를 보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즉, 사회성 중 일부를 묶어서 부르는 말로 주변의 상황을 스스로 파악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은 보통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월등히 뛰어나다...
2024.09.12 -
성경의 문학적 가치에 대하여
성경의 문학적 이해는 성경의 기록 과정을 연구한 19세기의 비평에서부터 시작했고 20세기에 와서 글쓰기와 문학에 관한 이해가 깊어지고 널리 퍼지면서 그 뿌리를 내리게 되었는데, 성경에 관한 문학적 관심은 축자영감설이 오류임을 인지한 데서 출발했지만, 신학자들이 문학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게 된 것은 그들이 성경과 문학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라는 성경의 주제가 문학형식을 취해서 표현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축자영감설(逐字靈感說,: verbal inspiration)은 성서는 글자까지도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단 한 글자도 한 문장도 틀림이 없으며, 이로 인해 오류가 없는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소수의 기독교 근본주의적 성경관이다. 축자영감설을 지지하는 기독교 근..
2024.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