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0)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27) 정밀한 손재주
27. 정밀한 손재주 우리나라 사람들은 흔히 젓가락질을 못하는 서구인을 보고 그들이 손재주가 없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은 그들은 손재주가 뛰어나다. 영국인은 서구문명의 핵심을 이끈 사려 깊고 사유 적인 사람들로 보통 인식이 되나 사실은 그들은 그에 선행하여 손재주가 참 좋다. 우선 건축물을 보면 서민이 사는 아주 평범한 캐슬콤베(Castle combe)라는 마을에 가면 전통가옥을 볼 수 있는데 집을 전부 주의 들판에서 돌을 주어다가 지었다. 벽은 물론 지붕도 돌 판으로 이었는데 물론 문지방이나 창틀은 나무를 끼워 넣어 볼 품 없게 만들었지만 정말 자연스럽고 사랑스러운 집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그 크기가 아주 작고 그러나 안에 들어가면 1층은 부엌, 거실이 분리되고 2층은 주로 침실, 3층의 다락은 아..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6] 문화상품
26. 문화상품 영국의 주요 수출품은 문화상품이다. 문화상품으로 먹고 산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국에 정착하면서 처음에 시골을 지나다녀도 밀을 경작하는 곳이 그리 많지 않고, 들판에도 좀 체로 야채나 곡식을 심지 않는 것 같다. 다만 농사라야 고작 양 몇 마리, 소 말을 키우는 것에 불과한데 이 나라 사람은 무엇으로 먹고살까 하는 의구심이 일어났다. 쇼핑을 하면 각종야채는 남아공에서부터 스페인 네덜란드 등 다른 나라에서 나온 제품을 수입하여 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요 공산품도 영국의 고유브랜디는 몇 개 되지 않고 다른 나라의 브랜디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은 삼성, 엘지, 소니, 도시바 필립스, 등등, 자동차는 볼보, 폭스바겐, BMW, 씨트론 현대 대우, 기아 등등 공산품도 외국에서 ..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5] 열린 우주관
25. 열린 우주관 나는 앵글로 색슨 특히 영국에 사는 사람들의 문화를 열린 우주관으로 보고 싶다. 이것은 특히 그들에게서 영혼의 자유 그것을 느낀다는 것이다. 그들의 목소리는 자신에 차있고, 현실과 이상을 넘나드는 풍요함이 있다. 물론 내외 정치적으로는 국제문제, 대미관계, 대 유럽 통합관계 등으로 자국의 문화와 독립성이 위협을 받는 점도 있지만 개인의 생활 등을 가만히 보면 그런 영혼의 풍요함이 장점으로 보인다. 물론 젊은 대학교수들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전 세계를 호령하며 지지 않는 태양의 제국이라 불리던 영국1, 위대한 영국은 어디로 갔는가? 라고 분개해 마지않는 사람들도 있지만 지금 사람들은 그런 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고 개의치 않는다. 제국주의 사고는 지나간 세기의 인간의 문명의..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4] 엄격성과 자유의 배출구
24. 엄격성과 자유의 배출구 학교이야기를 좀 해야 겠다. 내가 교육분야 공부를 했기 때문에 학교에 관심이 많았다. 영국에서 내가 살던 동네의 학교를 가보고 가만히 관찰한 바에 의하면 아동과 교사의 거리가 우리보다 가깝다는 점이다. 아동과 교사의 거리가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가깝다는 점이다. 우선 학급당 아동수가 작으므로 교실공간이 작고 선생님과 코를 맞댈 정도의 거리에서 수업을 하는데, 한국의 대도시의 초등학교를 보면 교실이 영국의 학교보다 훨씬 크고 학생이 많으므로 복도와 계단이 매우 넓고 그러므로 시설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와 벽돌과 매끄러운 돌을 이용하여 학교를 지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교실은 동선(動線)이 매우 크고 움직이는데 힘이 더 든다. 어린아이에게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 영국의..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3] 영국문화의 특징
23. 영국문화의 특징 문화란 한 국가나 지역 혹은 민족의 삶의 패턴을 의미한다. 오늘날 서구사회를 주도한 앵글로 색슨족의 문화는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이것은 동양의 문화와 비교하여 봄으로써 명확해 지는 것 같다. 첫째는 살아가는 방식에 있어서 사회구조의 투명성(Transparency) 이다. 이것은 하나의 조직이 아주 명백하게 규정된 규율에 의하지 않더라도 삶의 패턴이 예측 적 이라는 점이다. 그 하나의 예로 도시구조라든가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과 사상을 판단하는 방식이 논리에 의하여 명확하다는 점이다. 동양의 사회는 역동적 인의예지의 논리에 의하여 비합리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나 서구사회는 논리에 의존하므로 대체로 논리에 따르며 이에 적합한 사회구조를 갖고 있다. 사람들은 이것을 대체로 ..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2] 영국의 크리스마스
22. 영국의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는 전 세계 인의 명절인데 영국에서 세 번이나 크리스 마스를 보내면서 제대로 이를 보낸 것은 3년째이었다. 첫해에는 한달 전부터 시작되는 아동들의 각종 크리스마스 캐롤송, 연극 등을 비롯하여 사회단체 친구, 교회에서 초청하는 크리스마스 정찬(meal)에 초대되어 먹어보는 알지 못하는 크리스마스 밀이라는 이름이 붙은 음식, 그리고 크리스마스 한 달 전부터 미친 듯이 돈을 써대는 시민들, 그리고 연일 광고로 나타나는 크리스마스 세일, 등등. 이것은 한국에서 보는 크리스마스와 유사하게 보이지만 무언가 다른 것이 있을 것만 같았는데 잘 알 수 가 없었다. 그동안 많은 친구들, 직장에서 고객들을 만나고 접하면서 알아본 크리스마스는 정말 철저하게 확립된 삶의 관행 속에 자리 잡고 ..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