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0)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32] 팔등신 미녀의 다리와 문제
32. 팔등신 미녀의 다리와 문제 영국의 여성들은 정말 그림같이 죽 벋은 다리와 금발의 미녀가 많다. 그런데 약 40%정도는 나이 들어 있는 사람을 보면 몸이 불어있다. [1979년도의 미스잉글랜드: 왼쪽 3번째 Carolyn Seaward] 이들의 일상의 식생활이 기름진 음식과 육식위주라서 그런지 몰라도 체중이 붇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특히 영국의 중년이상의 노인을 보면 관절염 환자가 많은 데, 거기에다가 골절로 고생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물론 한국에도 골절환자가 노인의 경우에 많지만, 이렇게 흔하게 골절 환자를 보기는 처음이다. 내가 아는 엘리자베스라는 75세 된 분은 왼 다리가 7번 부러졌다고 하는데 늘 강한 밴드로 부러진 부위를 감고 그 위에 스타킹을 신고 다니는데 죽 벋은 다리에 비하여 윗부..
2024.10.17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31] 다양한 스포츠
31. 다양한 스포츠 영국에는 다양한 스포츠가 있지만 우리가 아는 것 말고 좀 특이한 것을 소개한다면, 통상 세계선수권대회라고 이름 붙여진 표창던지기, 포켓볼이 그것이다. 표창 던지기는 보통 500점부터 시작하여 표차 3개를 던져 그것이 맞힌 점수를 감하여 가는 방식으로 전개되는데 나중에 예를 들어 4점이 남으면 더블 2점짜리 과녁표지를 맞추어서 이를 0으로 만들어야 이기는데 먼저 0으로 처리하는 사람이 이긴다. 포켓볼은 우리가 아는 당구와는 좀 다른데 당구대의 6구석에 구멍이 있어 볼을 맞추어 이 구멍에 먼저 많이 넣어야 하는 게임이다. 당구처럼 쓰리쿠션처럼 고도의 기술을 이용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영국의 이런 사람들이 즐기는 게임은 그 방법이 아주 단순하다. 볼 굴리기 같은 게 그것이다. 약 50미터..
2024.10.11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의 소설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
데보라 스미스 (1987년 12월 15일생)은 영국 출신의 한국 소설 번역가입니다. 그녀는 한국 작가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번역하여 작가와 함께 2016년 맨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공동 수상했습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한 스미스는 한국 문학의 영어 번역본이 거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2009년부터 한국어를 독학으로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2015년 스미스는 “영어로 번역되지 못한” 책을 전문으로 출판하는 비영리 출판사 틸티드 액시스 프레스를 설립했습니다. 현재 SOAS의 연구원으로 재직 중입니다. 2018년 6월에는 왕립문인협회의 '40세 이하 40인' 이니셔티브의 펠로우로 선출되었습니다. [데보라 스미스] 스미스의 주요 번역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강, 채식주의자 (2015)안도현, 더 높이 ..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30] 교육과 삶의 목표
30. 교육과 삶의 목표 어느 나라나 교육은 중대한 국가사업이고 영국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국가적 목표는 국가경쟁력이 이바지 할 수 있고 개인의 삶을 향유하기 위한 직업적 소양을 가지도록 하는 점이 중요하다. 한국의 교육목표는 이미 초등학교에서부터 부모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아야 하고 미리 앞당긴 단계의 학습 각종 예능 교육 등 학생이 원치 않아도 부모가 학원과 과외를 통하여 야단이다. 그리고 이 모든 노력의 목표는 오로지 어느 대학, 어느 과를 입학해야 한다는 데 집중되어 있다. 입시 철이 되면 수능 시험장에서 가슴을 졸이고 학교 지원 후에는 목을 빼고 부모와 학생이 가슴을 졸이며 합격을 기다린다. 이것은 지나친 대학의 서열화, 취업, 일류 병, 학벌과 사회적 파벌 등이 가..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9] 사회주의적 민주주의
29. 사회주의적 민주주의 영국은 사회주의적 복지국가이다. 처음에 영국에 정착하여 살면서 이 나라는 민주국가인데도 공산주의 국가 같다는 무서운 생각이 들었다. 병원은 거의가 국가에서 운영 (NHS : National Health Service) 하고 의사는 국가에서 보수를 받는 공무원이며, 각 개인은 지역 보건소에 신고를 하여 주치의 (GP : General Practitioners or Family doctors : 가족 의사)를 지정 받는다. NHS라 불리는 영국국민 의료복지시스템은 1948년부터 영국 국민 모두에게 평등한 의료서비스를 무료로 받을 수 있도록 창설된 기구이다. 진찰은 무료이다. 18세 이상의 성인은 극빈자가 아니거나 60세 이상이 아니면 처방전에 명시된 약을 사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
2024.10.11 -
사랑이 숨쉬는 나라, 영국 [28] 경험주의
28. 경험주의 학자들은 대륙계의 합리론과 영국의 경험주의를 중세이후 큰 철학계의 논의로 주장하면서 데까르트로 대표되는 대륙계의 합리론은 수의 엄밀성과 귀납적 사고를 연구에 도입한 방법론적 특징을 지적한다. 한편 영국은 경험론이라는 사유 방식을 중심으로 연역적, 질적인 관찰방법을 주안으로 하여 발달된 주류를 대비하는데, 무엇이 영국인의 경험론적 합리성인가? 사유하는 국민이라 이름 붙은 영국인들, 이를 학문적으로 풀이하면 연역적 사고 즉 개개의 것을 잘 고려하여 거기서 일반원칙을 찾아내는 방식, 즉 대륙 계 귀납학자들이 주장한 실증주의보다는 경험론에 바탕 한 해석학적인 접근 방법이다. 이는 학문적으로 좀 어려운 용어인데, 예를 들어 법을 적용 시, 법을 해석 적용하는 사람은 법을 무조건적으로 일방적으로..
2024.10.11